외국계회사 채용팀에서 근무한지 벌써 13년 정도 되었네요.
최근 이직한 회사는 약 1000명규모이고 현재 2년 조금 더 다니고 있습니다.
이직 트렌드는 매 년 비슷한 것 같기도, 또는 굉장히 다른 흐름을 보여주는 것 같아요.
저도 이년전에 이직할때의 상황과 현재의 상황이 조금 다르다고 느끼고 있는 요즘입니다.
특히 경력직에게요!!
2025년도 상반기 이직트렌드를 아래와 같이 가져왔으니, 읽어보시고 공감 가신다면 공감 꾸욱~ 눌러주세요 :)
아래 내용은 철저히 본인 의견이며 코멘트 있으실시 댓글 주세요 :)
2025 이직 준비 전략
1. 🎯 포지션 중심으로 경력 재정비
- 단순히 “경력이 몇 년”보다 특정 직무에서 어떤 성과를 냈는가가 중요
- 🔹 포트폴리오화 추천:
- “문제 상황 → 내가 한 일 → 결과” 형태로 정리
- 면접/이력서 모두에 활용 가능 : 포트폴리오 어려울시 이력서에 녹일 수 있습니다.
✅ 예시:
“낮은 전환율을 개선하기 위해 A/B 테스트를 진행 → 신규 랜딩페이지 도입 → 전환율 12% 개선”
"현재 회사에서의 프로세스 duplication 문제 상황 파악 -> 인터뷰를 통한 strategic planning 제안 -> alignment 이후 execution등"
2. 🧠 핵심 역량 기반 자기소개서/이력서 리빌딩
- 기업은 이제 실행력과 결과를 보는 시대
- 다음 질문을 기준으로 작성해보세요:
- 나는 어떤 문제 해결자가 되고 싶은가?
- 어떤 가치를 조직에 제공했는가?
- 이직 후, 어떤 영향력을 만들고 싶은가?
👉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STAR 형식으로 이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
(S:Situation , T:Task, A:Action. R:Result) - 이렇게 계속 브레인 스톰 하시면 면접에도 굉장히 큰 도움이 됩니다.
결국 매니지먼트가 알고 싶어하는것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느냐이고 thinking process 에 관심이 많기 때문입니다.
3. 🔍 직무·산업 트렌드 조사 & 역량 갭 분석
- 변화 빠른 분야에서는 최신 기술/툴 익히는 게 중요, 요새는 Chat GPT 등 이용할 수 있는 Tool 이 정~말 많은 시대이기 때문에 점점 더 컴퓨터와 하는 업무에 익숙해져야할 때입니다!
- 예:
- HR → People Analytics, ATS 활용 경험
- 마케팅 → GA4, CDP, 퍼포먼스 기반 콘텐츠 운영
- 기획자 → Notion, Jira, Figma 등 툴 이해도 등
4. 🤖 AI 면접·온라인 채용 대비
- 외국계나 대기업은 점점 더 AI 기반 스크리닝·화상면접 확대 중
- 표정, 발성, 구조적 답변에 익숙해질 것
- 면접 앱 활용 or 카메라 켜고 모의 질문 연습 권장
- 많이 흔하진 않지만 비대면 면접 외 Presentation 면접이 있는 회사도 많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. 면접관과 면접자의 대화만으로는 면접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Tool을 이용하게 됩니다. (예: Case assessment, 인적성 검사 등)
5. 💬 네트워킹 기반 이직 채널 확보
- 2025년 채용의 30~40%는 비공개/레퍼럴 기반
→ 특히 외국계, 스타트업에서 중요 - 현재 회사에서도 Internal referral 에 대한 내용을 많이 홍보중인데, Good people know, Good people 이 많이 작용을 하는 것 같습니다.
🔹 당장 준비할 수 있는 내용들은 :
- 링크드인 활동 강화 (경력 요약/성과 정리)
- 동료·전 상사와 관계 유지
- 헤드헌터와 미리 연결해 시장 상황 듣기
6. 📆 이직 시점 & 타이밍 고려
- 일반적 채용 성수기는 외국계는 따로 없습니다. 상시 채용이기 때문에 피플앤잡 & 인디드 & 링크드인을 꼭 활용하세요!
- 단, 공고 오픈 ~ 마감까지 기간이 짧아짐 → 빠른 지원 필요 -> 좋은 사람이 나타나면 외국계는 Deadline 까지 기다리지 않고, 바로 후보자와 연락하여 인터뷰를 진행하니, 마음 먹었을 때 이력서를 제출하세요!
📝 마무리
2025년 이직은 "스펙보다 실전력",
**"스킬보다 실행 결과"**가 중심이 됩니다.
1. 외국계는 무조건 수시 채용입니다. 특히 경력직, 마음 먹었을 때 이력서 제출하세요.
2. AI Tool 에 익숙해지세요. Chat GPT 등 현재 회사 내에서 사용하는 AI Tool 이 많이 발전중입니다.
3. 이력서 쓰시고, 인터뷰 준비하실때 이 두 가지 꼭 기억하세요. 1) Story telling 2) STAR 기반 대답 준비
궁금하신 사항은 언제든지 댓글 남겨 주시면, 이직에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:)
연봉 올리시고 행복한 이직 되시기를 바랍니다~!~!~!
'직장인 이직 Sto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 최저임금과 연봉 실수령액 알아보기 (0) | 2022.01.03 |
---|---|
2021 연봉 실수령액 알아보기 (0) | 2021.01.26 |
직장인 2020 연봉 실수령액 확인하기 (0) | 2020.10.07 |
채용 정보 확인하기, 직군별 구직,채용 사이트 모음 (0) | 2020.09.25 |
언택트 시대 비대면 인터뷰 면접 준비하기 및 주의사항 (2) | 2020.09.23 |